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코딩테스트
- 토익 환급
- 클린 코드
- 미켈란젤로
- csts
- 연필소묘
- 그림
- 연필
- leetcode
- IT자격증
- Kriss 재택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색연필
- react
- 코드잇
- 다비드상
- PrivateRouter
- 소묘
- IT 자격증
- 코딩
- KSTQB
- 취미
- 파이썬
- 테스팅 자격증
- 웹개발
- 재택근무
- clean code
- Python
- 프로그래밍
- Today
- Total
목록코딩 (3)
글모음
코드잇으로 한 달 동안 300 시간 넘게 미친 듯이 공부한 후기 코드잇은 코딩 인강 사이트를 찾아보다가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호기심에 들어가본 사이트엔 대부분 내가 공부하고 싶은 것들의 (MySql, JavaScript, OOP, 알고리즘, 인공지능 - 딥러닝, 머신러닝...) 등 종류가 엄청 많았다. 한 번만 결제하면 무제한으로 강의를 전부 다 볼 수 있다는데, 뷔페도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있지만 그렇게 질을 기대하고 가는 게 아니듯 저렴한 가격에 무제한으로 강의를 들을 수 있다면 강의 질이 낮지 않을까하는 의심이 처음에 컸었다. 그러다 작년에 코드잇에서 한 달 동안 진행하는 대코캠(대학생 코드 캠프)을 알게 되었다. 매일 코드잇으로 공부해서 인증을 남기면 우수 참여자로도 뽑히면 5만 원의 장학금도 ..
프로젝트나 알고리즘 공부를 하면서 코드를 짤 때마다 어김없이 드는 생각이 있는데, 바로 '지금 짜고 있는 코드가 과연 좋은 코드일까?'다. 좋은 코드가 왜 필요한가? 좋던 말던 돌아가면 되는 거 아닌가! 대학교 때 '산업안전'이란 교양을 들은 적이 있는데, 내 전공인 컴퓨터 공학과는 전혀 상관이 없어서 별생각 없이 학점 따려고 신청한 과목이었지만 들으면 들을수록 내용이 유용해서 정말 열심히 공부했다. 주로 산업 현장에서 사고가 일어나는 이유, 사고의 종류, 사고 예방법, 보호기구 정보 이런 걸 배웠는데, 특히 아직도 기억에 남는 건'하인리히 법칙'이다. 하인리히의 법칙은 한 번의 대형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는 29가지의 경미한 사고와 300가지의 증조가 일어난다는 통계를 분석한 법칙이다. 즉, '대형 사고..
한 달간 진행하는 대코캠(대학생 코딩 캠프) 참여하게 된 계기는 링커리어에서 대외활동 뭐 없는지 살펴보다가 온라인 코딩 캠프가 있어서 온라인으로 개발 프로젝트하는 건 줄 알았다. 알고 보니 온라인 인강 듣는 거.. 처음에는 온라인 강의 듣는 걸 코딩 캠프라고 포장한 느낌이라 별로였는데 홈페이지에 강의 목록이 끌리는 게 많았다. 대부분 내가 배우려고 염두에 두고 있었던 리스트들 (MySql, JavaScript, OOP, 알고리즘, 인공지능 - 딥러닝, 머신러닝...) 등 종류가 엄청 많았다. 여기는 질보다 양인 사이트는 아니겠지 하면서 별 기대 없이 강의 질 별로면 빠르게 강의 들으면서 모르는 개념이나 잡아 가보자 하는 생각이었는데 강의 질이 생각보다 좋았다.. 너무 좋았다.. 진짜 하루 종일 공부했다 ..